본문바로가기
통합검색
사진등록

상세검색

상세검색 옵션

상세 검색


등록일
~
통합검색

그룹별 보기

국내 전체보기

선택 결과

Loading...

글 요약정보

No.

715018

제목

사패지경계석
賜牌地境界石

지역

경기도 > 동두천시 > 상봉암동
Gyeonggi-do > Dongducheon-si > Sangbongam-dong
京畿道 > 東豆川市 > 上鳳巖洞

올린이
등록일

최*
2024.11.25

사진 목록

글 내용

키워드,백과사전 항목보기
사진 설명 동두천시 상봉암동 자유수호평화박물관 내에 있는 무인석
동두천시 향토문화유산

조선 전기의 무신 어유소가 1488년 임금과 함께 어등산에 올라 사냥을 하였는데 날아가는 솔개를 쏘아 떨어뜨리자 성종이 어유소의 궁술에 감탄하여 현재의 동두천시 일대를 사패지로 하사하였다 한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웠다고 전해지는 무인석이 바로 사패지경계석이다. 사패지란 사전 또는 별사전라고도 하는데 국가나 왕실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왕이 특별히 하사하는 토지를 말하는 것이다.
사패지경계석은 높이 140㎝·폭 47∼50㎝로, 일반 무인석보다 규모가 작으며 한국전쟁 때 총알에 맞아 머리 부분 일부가 파손되었다. 원래 생연동 텃밭가에 있었다가 2007년 5월 자유수호평화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키워드

동영상,영상,VIDEO,사패지,경,계석,賜牌,境界,사패지경계석,賜牌地境界石

백과사전
항목보기

사패지경계석

지도

Comments

코멘트쓰기

(0/500 Byte)

키워드 수정

키워드 구분은 쉼표(,)입니다.

큰 지도 보기

사패지경계석

賜牌地境界石

분류
경기도 동두천시 상봉암동
Gyeonggi-do Dongducheon-si Sangbongam-dong
京畿道 東豆川市 上鳳巖洞
올린이
등록일
최훈
2024.11.25
내용
동두천시 상봉암동 자유수호평화박물관 내에 있는 무인석
동두천시 향토문화유산

조선 전기의 무신 어유소가 1488년 임금과 함께 어등산에 올라 사냥을 하였는데 날아가는 솔개를 쏘아 떨어뜨리자 성종이 어유소의 궁술에 감탄하여 현재의 동두천시 일대를 사패지로 하사하였다 한다. 
이를 기념하기 위해 세웠다고 전해지는 무인석이 바로 사패지경계석이다. 사패지란 사전 또는 별사전라고도 하는데 국가나 왕실에 공을 세운 신하에게 왕이 특별히 하사하는 토지를 말하는 것이다.
사패지경계석은 높이 140㎝·폭 47∼50㎝로, 일반 무인석보다 규모가 작으며 한국전쟁 때 총알에 맞아 머리 부분 일부가 파손되었다. 원래 생연동 텃밭가에 있었다가 2007년 5월 자유수호평화박물관으로 이전되었다. 
 
맨 마지막 사진입니다.